
jpa의 영속성 컨텍스트와 update
·
데이터베이스/그 외
1. save함수로 update할때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 안 1차 캐시에 있는 user객체가 있다. 여기서 이 user를 db에 업로드 함 그럼 그 객체는 => 영속화 된 객체 그리고 그 캐시에서 db로 값을 넣는 행위를 => flush(우리가 버퍼 비울때 쓴 그거) 이게 save함수로 값을 바꾸어서 update할때 일어나는 과정 2. @Transactional 로 update @Transactional이 종료되는 시점 = 그 함수가 종료되는 시점 종료시 commit이 되는거, 값이 변경된걸 감지해서 update한 결과를 수정해줌(=더티체킹) 영속성 컨텍스트는 깃의 스테이징 같은거고 transactional 이 종료된 뒤 db에 값 날아가는게 commit같은 느낌